사람인이라든지 인크루트 및 커리어와 같은 취업사이트에 접속하여 급여 세금 계산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데요, 저는 오늘 네이버 연봉계산기를 이용해보기로 했습니다. 굳이 따로 사이트 접속을 할 필요없이 곧바로 검색을 통하여 해당 툴을 이용할 수 있기때문에 더 빠르고 효율적이라고 생각합니다.

 

네이버 검색창에다가 위의 그림처럼 [임금계산기] 정도로 키워드를 잡고 검색하시면 되는데요, 기본적으로는 [시급] 탭으로 되어있네요. 올해의 최저임금은 8720원이고, 복리후생비 및 시간외 근로수당과 연차수당 등은 반영되지 않은 금액이며 회사규정에 따라 주휴수당도 다르기 때문에 실제 주급 및 월급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합니다.

 

바로 우측에 있는 [연봉] 탭을 선택하여 월급 또는 연봉정보를 입력합니다. 저는 월급을 300만원이라고 가정하고, 비과세액은 10만원, 부양가족수는 본인을 포함하여 1명, 20세 이하 자녀수는 0명으로 설정해보았습니다.




[계산하기] 버튼을 누르시면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5일 근무제의 월 근로시간은 209시간이며, 4대 보험료는 근로자 부담액 기준이고 소득세는 국세청 근로소득 간이세액표 기준으로 실수령액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럼 계산결과를 보겠습니다.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근로소득세를 공제하니까 2651940원이라는 실수령액이 나왔습니다. 그러니까 월급이 세전 300만원이라고 하면, 세후는 대략 265만원 정도가 되는겁니다. 산재보험은 전액 회사 부담이고, 국민연금의 근로자 최대 부담액은 226350원이라고 합니다. [초기화] 버튼을 누르시면 조건을 다시 설정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