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yDic 또는 헤이딕이라는 사이트에 접속하여 국민연금 계산기 서비스를 이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민연금은 노령, 장애, 사망따위로 소득획득 능력이 없어졌을때 국가가 생활보장을 위하여 정기적으로 지급하는 금액입니다. 공적연금으로서 가입이 법적으로 의무화 되어있기때문에 사보험에 비하여 관리운영비가 적게 소요되며, 관리운영비의 상당부분이 국고에서 지원되므로 사보험처럼 영업이익을 추구하지 않습니다.
헤이딕 페이지에 접속해서 경제메뉴의 국민연금계산기 항목을 선택해줍니다. 매월 빠져나가는 국민연금에 대하여 도대체 내 월급 또는 소득에 따라서 보험료가 얼마나 나가는지 간단하게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월소득액수를 입력하시면 국민연금 보험료 계산결과가 출력됩니다. 관련 DIC 목록을 보시면 4대보험,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계산기가 있습니다.
월소득 및 월급여를 입력하고 [계산하기] 버튼을 누르면 곧바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저는 한달급여를 400만원이라고 가정해보았습니다. 국민연금 계산결과 총액은 36만원, 근로자부담은 18만원, 사업자부담도 18만원이 나왔습니다.
국민연금의 기준소득월액은 최저 31만원, 최고 486만원까지의 범위로 결정됩니다. 따라서 신고한 소득이 31만원보다 적으면 31만원을 기준소득으로 잡고, 486만원보다 많으면 486만원을 기준소득으로 잡습니다. 국민연금 총납부액은 기준소득월액에 9%를 곱하여 계산하고, 근로자와 사업자부담금은 각각 기준소득월액에 4.5%를 곱하여 계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