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한자 변환과 텍스트 변환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자로 사이트(한자로 한글한자자동변환기 (juntong.or.kr))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한글 한자 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고, 전통문화연구회가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 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 한자 자동변환기를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공동연구 및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그럼 먼저 웹서비스 한글 한자 자동변환 기능부터 알아보겠습니다. 한글 웹사이트 내용을 실시간으로 한자로 변환하여 보여주는 서비스인데요, 지난 2014년 9월부터 공식 서비스를 개시했습니다.
제공하는 주요기능은 웹사이트 한글문서의 한자어에 대하여 자동으로 한자변환 및 병기, 변환한자를 중국 간체자 및 일본 약자로 선택 가능, 사용자의 한자 사용능력에 맞춘 수준별 한자지정 가능, 사용자 문장 변환 가능, 다국어 페이지 지원으로 한/중/일 사용자가 개별 언어페이지로 접속 및 이동가능입니다.
사용자가 보고자하는 웹페이지 또는 URL을 직접 입력하거나,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추천 사이트]로 제시된 주요 사이트를 선택하여 해당 페이지를 한자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한자 병기를 선택하면 한글과 한자가 함께 표기되고, 한자선택을 중국으로 하면 한글에 대한 한자를 중국 간체자로 변환하며, 한자선택을 일본으로 하면 한글에 대한 한자를 일본 약자로 변환합니다.
다음은 텍스트 변환기 이용방법을 보겠습니다.
[TEXT 변환기] 메뉴를 열어주시고, 좌측의 비어있는 란에다가 원하는 텍스트를 입력합니다. 저도 임의로 위의 그림과 같이 입력해보았는데요 [변환하기] 버튼을 누르니 일부 글자들이 한자로 변환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는 한자로 애드인 사용안내를 보겠습니다. 전통문화연구회 동양고전 정보화연구소에서는 학계의 연구자를 비롯하여 전 국민 차원에서의 한자교육 및 활용 편의성을 제고하기 위해서 문장/문서의 한글을 한자로 자동 변환할 수 있는 한자로 시리즈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한글용/파워포인트용/워드용 애드인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며, 사용자등록 페이지(사용자등록 (juntong.or.kr))에 접속하여 신청 및 설치용 프로그램을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문장에 등장하는 인명이나 지명 등의 고유명사에 대해서는 오류방지를 위하여 변환이 제한될 수 있고, 기타 산출어/축약어/일반명사/전문용어 등에서 변환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니 변환결과 활용시 한번 더 검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글>
https://brownmilk.tistory.com/1373
네이버 한자 필기인식기
한자사전은 자전 또는 옥편이라고도 하는데요, 한자의 음과 뜻을 모아놓았습니다. 한자를 모아 일정한 순서로 배열하고 그 독법이나 의미 등을 해설한 책이며, 글자 하나하나의 뜻과 음을 풀이
brownmilk.tistory.com